공무원 월급 수당 9급 공무원 5호봉 연봉은 얼마나 될까?

공무원 월급 실수령액 수당을 합하면 얼마나 될까요? 올해 중국 청년 실업률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공무원 시험에 응시하는 이른바 ‘공시족’도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공무원이 직업으로서의 선호도에서 낮은 점수를 받고 있으며, 재직 중인 공무원들의 조기 퇴직이 증가하고 있어 이로 인한 행정 공백이 발생할지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과연 월급은 얼마나 되고 대기업과 비교하여 어떤 수준인지 알아보겠습니다.


2024 공무원 월급

2024년 공무원 월급 인상액

올해 공무원 임금 인상폭은 2020년 이후 최대 인상 폭이라고 합니다. 최저임금법을 고려하여 산정했다고 하고 인상률은 2%대 이지만 실제 수령액은 얼마가 되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연도공무원 보수 인상률 (%)
2020년2.8
2021년0.9
2022년1.4
2023년1.7
2024년2.5%

위에 인상률은 3급 이하 일반 공무원의 월급 인상률이고 3급이상 또는 정무직 더 위의 직급인 고위 공무원 직급은 2018년 고위 공무원단 2.0% 인상 이후 2022년 까지 임금을 동결하였습니다.

그렇다면 고위직 연봉은 얼마나 높기에 임금을 동결하고도 치솟는 물가에 걱정 없이 살고 있을까요?

공무원 호봉에 따른 월급 실수령액

 1급2급3급4급5급6급7급8급9급
14,261,1003,836,0003,460,9002,966,2002,650,7002,186,8001,962,3001,805,1001,770,800
24,410,4003,978,3003,588,9003,087,3002,757,8002,288,5002,051,8001,863,6001,789,800
34,563,6004,122,5003,720,8003,210,4002,869,1002,393,4002,146,6001,924,2001,821,500
44,720,2004,268,1003,853,6003,336,4002,984,6002,500,6002,246,2002,015,7001,865,700
54,880,6004,415,7003,988,6003,464,1003,103,2002,611,0002,349,4002,110,8001,922,300
65,042,9004,563,5004,124,9003,593,1003,224,2002,724,5002,455,0002,208,2001,992,800
75,207,7004,713,3004,262,8003,723,1003,347,0002,838,3002,561,3002,305,9002,081,300
85,373,8004,862,8004,401,1003,853,9003,471,4002,952,5002,668,4002,399,9002,166,600
95,542,3005,013,4004,540,5003,985,1003,596,2003,067,0002,770,2002,489,5002,248,300
105,711,8005,163,8004,679,8004,116,1003,721,9003,174,4002,867,4002,574,3002,326,900


공무원 호봉은 최대 32호봉 까지 있습니다. 일반 직장과 달리 큰 성과가 없더라도 기간이 되고, 시간이 지나면 올라가는게 호봉이라 이런 점은 일반 직장인들 보다 스트레스가 덜 할 것 같지만, 나름대로의 괴로움도 있겠죠?
1급 10호봉이 570여만원을 수령합니다. 그렇다면 1호봉이 뜻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공무원 호봉이란?

호봉이 뭔가요? 공무원과 경찰관과 소방관과 군인과 군무원, 교도관 등의 급여 체계에서 나타나며 1년 단위로 호봉이 증가한다. 또한, 승진 임용 시 1호봉을 감한다. 호봉이 길게 붙을수록 급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보통은 7~10호봉을 기점으로 호봉에 의한 급여 증가량이 줄어들기 시작하는데 1%씩 조금씩 오르기 시작하는 20년차쯤 되면 공무원의 월급은 이미 임용 초기의 엄청난 박봉의 추억에서 벗어난다고는 하지만, 예전 공무원 연금이 탄탄한 시절과 비교하면 노후준비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하소연도 있습니다.

9급 공무원 임금 비교

연봉 오른다공무원 월급 얼만가 봤더니 9급 공무원 1호봉 수령 금액은 1,877,000원으로 2023년 1,770,800원보다 106,200원이 인상되었습니다. 9급 공무원 호봉 중 가장 높은 32호봉의 월급은 3,499,900원으로 연봉으로 환산하면 약 4천 2백만원(세전)입니다. 

5년 근속한 9급 공무원 5호봉 월급은 200만원이네요.

호봉2024년2023년증가인상률
11,877,0001,770,800106,2006.00
21,897,1001,789,800107,3006.00
31,925,2001,821,500103,7005.69
41,961,6001,865,70095,9005.14
52,006,7001,922,30084,4004.39
62,061,1001,992,80068,3003.43
72,133,3002,081,30052,0002.50
82,220,8002,166,60054,2002.50
92,304,5002,248,30056,2002.50
102,385,1002,326,90058,2002.50
112,461,8002,401,80060,0002.50
122,538,3002,476,40061,9002.50
132,611,5002,547,80063,7002.50
142,682,6002,617,20065,4002.50
152,750,6002,683,50067,1002.50
162,816,3002,747,60068,7002.50
172,880,6002,810,30070,3002.50
182,940,3002,868,60071,7002.50
192,999,2002,926,00073,2002.50
203,055,2002,980,70074,5002.50
213,108,2003,032,40075,8002.50
223,158,9003,081,90077,0002.50
233,207,4003,129,20078,2002.50
243,253,9003,174,50079,4002.50
253,298,2003,217,80080,4002.50
263,338,3003,256,90081,4002.50
273,372,8003,290,50082,3002.50
283,406,0003,322,90083,1002.50
293,438,1003,354,20083,9002.50
303,469,2003,384,60084,6002.50
313,499,9003,414,50085,4002.50

공무원 봉급표 년

7급 공무원 임금 비교

2024년 7급 공무원 월급표를 살펴보면 호봉에 따라 최소 56,200원에서 최대 102,900원이 인상되었습니다. 

7급공무원 1호봉은 2,050,600으로 9급 공무원 1호봉인  1,877,000보다 13만원 정도 더 받고 있습니다만, 30년 근속한 7급공무원 30호봉은 4,217,900원으로 9급 공무원 30호봉인 3,469,200보다 겨우 80만원 정도 더 받는 것에 그칩니다. 월급만 본다면, 너무 힘들게 7급 공부하지 않아도 될 것 같지 않나요?^^

5급 공무원 임금 비교

그 어렵다는 행정고시나 기술고시에 합격하면 5급 사무관에 임명됩니다. 사무관의 경우 1호봉은 2,717,000원으로 연봉으로 따지면 32,600,000 원 정도 수준이라 대기업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5급 공무원 1호봉 봉급은 7급 공무원 8호봉과 비슷한 정도의 임금체계를 갖고 있습니다. 7급이 8년이 지나야 사무관 정도의 월급을 받으니 공부로 그 시간 투자하는 것과 비교해 보세요.

5급 이상부터는 이하 공무원 직급과 차이가 조금 있지만, 30년동안 근무한 30호봉을 비교해보면 5,269,100정도로 높지 않은 금액입니다.  


공무원 수당

일반 직장인도 수당이 있듯이 공무원들도 다음 각 호에 따라 수당이 지급됩니다.
먼저 2024 공무원 수당에서 저연차 공무원을 위한 방안이 마련됩니다. 바로 정근수당 가산금 항목인데요. 원래는 5년 이상 재직해야 받을 수 있는 수당이었지만, 올해부터는 5년이 되지 않았더라도 장기 재직 장려 차원에서 정근수당가산금이 지급됩니다. 2024 공무원 수당 지급 금액은 3만원입니다.


또 특히 올해부터 교육부는 “올해 1월부터 교원의 담임 수당, 보직 수당, 특수교육 수당 등을 인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인사혁신처의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이 이달부터 적용된 데 따른 것인데, 우선 담임 수당은 기존 월 13만원에서 20만원으로 53.8% 인상합니다.


담임 수당은 지난 2015년 월 11만원에서 2016년 13만원으로 인상된 이후 지난해까지 7년간 동결 상태였다. 8년 만에 7만원 오른 셈이다. 교무부장·학생부장·연구부장 등 보직을 맡는 교사에게 지급되는 보직수당 또한 기존 월 7만원에서 15만원으로 2배 이상 오르고, 보직수당이 오른 것은 2003년 이후 21년 만입니다.


이런 제도를 운영하는 이유는 지난해 서이초 사건등 담임을 기피하는 사례가 급격히 늘어나 이를 유도하기 위한 정책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Loading